미래융합가상학과

전공 소개

글로벌한국학과

교육목표

 한국 사회에 대한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지식을 갖춘 인재 양성

 글로벌 관점에서 한국사회의 현안과 전망을 진단할 수 있는 인재 육성

 문화적 포용력과 국제교류사업 추진 능력을 겸비한 글로벌 인재 양성

전공 역량

전공 역량

세부 역량

정의 및 달성 기준

전공지식

기초지식

 한국사회에 대한 객관적 이해와 분석능력

응용능력

 한국사회 이슈 진단과 해결 방안 수립 능력

융합능력

 한국사회의 질적 성장을 위한 창의적 사고 능력

국제화역량

경제 통상 경영

 세계경제 구조 하의 한국경제 발전과 향후 전망 분석

국제개발 협력

 세계화와 한국무역 정책 및 전략 탐색

영어 소통 능력

 영어강좌 수업을 통해 영어의사소통 능력 향상

문화예술역량

한국 대중문화

 한국 대중문화 현상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체험

한국 예술비평

 동아시아 문화와 한국문화 발전 비교분석

한국어 이해와 분석

 한국 대중문화를 통한 한국 언어에 대한 이해

진로 트랙

 인문사회

목표 직종

이수 목표

단계별 편성 교과목

기초

핵심

심화

국제교류 활동가

한국학 전문교원

한국학 전문연구원

한국사회를 세계적 시각에서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방향과 전망에 대한 인문사회학적 통찰력을 지닌 한국전문가 양성

· 글로벌 한국학 입문

· 한국 현대사와 사회발전

· 한국 사상과 삶의 방식


 · 한국법과 글로벌 스탠더드

· 한국 사회 전환과 현대 윤리

· 인공지능의 정치 철학적 이슈


 경제경영

목표 직종

이수 목표

단계별 편성 교과목

기초

핵심

심화

글로벌 통상전문가

글로벌 지역전문가

글로벌 마케터

글로벌 HR전문가

글로벌 협상전문가

세계경제시스템 하의 한국경제·무역통상 구조 및 정책 이해와 한국기업의 글로벌 경영전략 분석

· 동아시아 경제론

· 한국 및 해외 기업경영 사례 분석


· 한국의 무역•투자 이슈

· 산업발전과 데이터 사이언스

 -


 문화예술

목표 직종

이수 목표

단계별 편성 교과목

기초

핵심

심화

한국어 전문교원

국제문화교류 전문가

한국의 전통·현대 문화예술 발전과 현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및 발전 방향에 대한 모색

-

· 한국 명작 단편 소설 강독

· 한국의 시와 노래

· 한국과 동아시아의 신화 이해

· 미디어와 영화로 본 한국어와 한국문화

· 초국가적 문화와 문학에 관한 탐구

급격하게 확산되는 한류에 대한 외국인의 수요를 반영하여 한국고전 및 대중문화 실기수업을 통해 한국문화의 직접체험 기회 제공

· 한류와 한국 문화 1

· 한류와 한국 문화 2

 -

 -


 국제협력

목표 직종

이수 목표

단계별 편성 교과목

기초

핵심

심화

국제개발협력 전문가

개발 NGO 전문가

환경 NGO 전문가

글로벌 위기에 대해 국제적으로 진행되는 협력사업과 지속가능발전 전략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관점 정립

-

 -

· 국제개발 협력의 이해

· 기후위기 이슈와 정책

졸업 요건

 성적

 글로벌한국학과에서 이수한 모든 교과목의 성적이 평점평균 1.75 이상이어야 함(단, 학사학위취득 유예 학생 제외).
 

 학점 취득

 전공 영역별 이수 학점 및 최소전공학점 이상 취득 

이수 방법

전공필수

전공선택

최소전공학점(계)

부 전 공

2학점

19학점

21학점

복수전공

2학점

34학점

36학점

 부전공의 경우 21학점 이상(전공필수 반드시 포함) 취득 


 소정 요건

적용 요건

시행 시기

충족 기준

(없음)

-

-

편성 교과목

세부 영역

전공필수

전공선택

2021학년도

1과목(2학점)

18과목(52학점)

19과목(54학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