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현황
학문 분야
|
정원
|
이수 방법
|
수여 학위
|
이수 대상
|
N.C.E.
|
(최소) 10명
(최대) 200명
|
부전공
복수전공
|
-
글로벌한국학사
|
재학생, 외국인 학생
|
전공 소개
외국유학생들에게 기존의 인문학을 기반으로 한국학의 학문적 범위를 확장하고, 한국사회에 대한 단편적 인식의 한계를 극복하여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이해와 관점을 갖도록 하는것을 주목적으로 하며, 한국학생들에게도 한국적 사고와 인식의 틀을 넘어서 세계적 시각과 관점에서 한국 사회를 분석·진단하고 세계속에서 한국이 나아갈 발전과 전망에 대한 창의적인 사고 능력을 배양시키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문화적 접촉과 교류의 장을 제공하여 참여자들의 글로벌 역량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
교육 분야
인문사회과학 분야
- 한국의 정치, 경제, 무역, 경영, 사회, 역사 전반에 걸친 다양한 이슈들을 교육함
문화예술 분야
- 한국의 전통과 현대 문화 예술 전반에 대해 이론과 체험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학습함
국제개발협력 분야
진로 및 취업 분야
진로 분야
|
취업 분야
|
목표 직종
|
설정 근거
|
인문사회과학
|
국제교류사업
|
국제교류 활동가
|
한국국제교류재단(KF)
한국국학진흥원(KSI)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
한국학 연구
|
한국학 전문교원
한국학 전문연구자
|
한국학 연구소(CKS)
한국학중앙연구원(AKS)
세종학당(KSIF)
|
경제경영통상
|
국제경제/무역통상
|
국제 통상전문가
국제 지역전문가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아시아개발은행(ADB)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F)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한국무역협회(KITA)
|
글 로벌 비즈니스
|
글로벌 마케터
글로벌 HR 전문가
글로벌 협상 전문가
|
글로벌 기업
해외 진출 한국 기업
|
국제개발협력
|
국제개발협력
공적개발원조
|
국제개발협력전문가
|
국제연합(UN) 관련기구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한국국제협력단(KOICA)
|
국제비정부
국제환경
|
개발 NGO 전문가
환경 NGO 전문가
|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월드비전(World vision)
그린피스(Greenpeace)
|
인력 수요 전망
한류의 지속가능성이 높아지고 정부와 기업의 대대적인 투자로 한국학 전문 인력 수요 증가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한국어 중심 한국학 강좌는 점차 융합 및 연계전공 형태로 진화
증가하는 수요 대비 한국학 전문 인력의 공급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