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현황
학문 분야 | 정원 | 이수 방법 | 수여 학위 | 이수 대상 |
N.C.E. | (최소) 10명 (최대) 30명 | 부전공 복수전공 | 문학사 | 모든 재학생 |
전공 소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전략으로서 추진되고 있는 문화도시 사업을 발전적으로 견인할 수 있도록 문화도시 특화 프로그램을 갖추어 전문 및 실무 인력 양성. 문화도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 관련 고급 지식을 제공하고 산학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산업 경험의 협력적 선순환을 제고할 수 있는 실습 중심의 과정으로 운영 |
교육 분야
로컬크리에이터
- 문화도시 설계, 문화도시사업 기획, 지역비즈니스 기획. 지역 마케팅 및 컨설팅
공동체 활동 및 돌봄
- 사회적 경제 및 지역 문화 콘텐츠 활성화, 지역문제해결 실습
문화도시 거버넌스
- 거버넌스 체계, 문화예술도시 관련 정책 및 행정
진로 및 취업 분야
진로 분야
|
취업 분야
|
목표 직종
|
설정 근거
|
로컬크리에이터 및
커뮤니티비즈니스
|
문화도시 기획
|
지역 컨설턴트, 도시재생전문가, 도시계획가,
도시디자인
|
문화도시 관련 수업 및 실습
|
문화사업 기획
|
문화행사 기획, 지역 사업 발굴, 지역마케팅 전문가,
예술경영
|
문화도시 관련 수업 및 실습
|
공동체 돌봄 인력
|
사회적 경제
|
사회적기업가, 공익 컨설턴트, NPO활동가, 갈등조정
퍼실리테이터
|
사회적 경제 및 공동체 돌봄 관련 수업 및
실습
|
지역 공동체
|
지역마케터, 지역문화유산큐레이터
|
사회적 경제 및 공동체 돌봄 관련 수업 및
실습
|
지역 및 문화 정책 기획
|
정부 및 산하 공공 기관
|
지역 정책전문가, 문화 정책전문가
|
지역 및 문화 정책 관련 수업 및 실습
|
문화관련 기관
|
문화예술 기획자, 문화 행정가, 문화산업 관련 기관
|
지역 및 문화 정책 관련 수업 및 실습
|
인력 수요 전망
문화도시지원센터 - 운영방식 : ‘21년 보조사업자로 선정된 ’(재)지역문화진흥원‘이 역할 수행, 추후 역할을 확대하여 독립적 평가·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21년~) - 주요기능 : ▲문화도시 사업 모니터링, 평가 관리 ▲문화도시 지정 과정 지원 ▲문화도시 사업 컨설팅(컨설팅단 운영) ▲문화도시 관련 연구개발·조사
지역문화재단 및 지역문화컨설팅기업 - 운영방식 : 지역실정에 맞게 기존 민간기관 내 설치하거나 지자체 행정부서 내 팀 구성 등 다양한 방식 활용 - 주요기능 : ▲문화도시 조성계획 수립 및 사업 추진 ▲행정-시민-전문가 문화도시 추진 위원회 운영 ▲주민교육 및 의견수렴 ▲그 밖에 지자체 조례로 정하는 사항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