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융합가상학과

전공 소개

문화도시학과

전공 현황

학문 분야

정원

이수 방법

수여 학위

이수 대상

N.C.E.

(최소) 10명

(최대) 30명

부전공

복수전공

문학사 

모든 재학생

전공 소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전략으로서 추진되고 있는 문화도시 사업을 발전적으로 견인할 수 있도록 문화도시 특화 프로그램을 갖추어 전문 및 실무 인력 양성. 문화도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 관련 고급 지식을 제공하고 산학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산업 경험의 협력적 선순환을 제고할 수 있는 실습 중심의 과정으로 운영 

교육 분야

 로컬크리에이터

 - 문화도시 설계, 문화도시사업 기획, 지역비즈니스 기획. 지역 마케팅 및 컨설팅

 공동체 활동 및 돌봄

 - 사회적 경제 및 지역 문화 콘텐츠 활성화, 지역문제해결 실습

 문화도시 거버넌스

 - 거버넌스 체계, 문화예술도시 관련 정책 및 행정

진로 및 취업 분야

진로 분야

취업 분야

목표 직종

설정 근거

 로컬크리에이터 및 

커뮤니티비즈니스 

 문화도시 기획

 지역 컨설턴트, 도시재생전문가, 도시계획가, 도시디자인

 문화도시 관련  수업 및 실습

 문화사업 기획

 문화행사 기획, 지역 사업 발굴, 지역마케팅 전문가, 예술경영

 문화도시 관련  수업 및 실습

 공동체 돌봄 인력

 사회적 경제

 사회적기업가, 공익 컨설턴트, NPO활동가, 갈등조정 퍼실리테이터

 사회적 경제 및 공동체 돌봄 관련 수업 및 실습

 지역 공동체

 지역마케터, 지역문화유산큐레이터

 사회적 경제 및 공동체 돌봄 관련 수업 및 실습

 지역 및 문화 정책 기획

 정부 및 산하 공공 기관

 지역 정책전문가, 문화 정책전문가

 지역 및 문화 정책 관련 수업 및 실습

 문화관련 기관

 문화예술 기획자, 문화 행정가, 문화산업 관련 기관

 지역 및 문화 정책 관련 수업 및 실습

인력 수요 전망

90aea55177ee173f5ce3609d941c8b4d_1519966869_5463.png 문화도시지원센터
 운영방식 : ‘21년 보조사업자로 선정된 ’(재)지역문화진흥원‘이 역할 수행, 추후 역할을 확대하여 독립적 평가·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21년~)
 - 주요기능 : ▲문화도시 사업 모니터링, 평가 관리 ▲문화도시 지정 과정 지원 ▲문화도시 사업 컨설팅(컨설팅단 운영) ▲문화도시 관련 연구개발·조사 

90aea55177ee173f5ce3609d941c8b4d_1519966869_5463.png 지역문화재단 및 지역문화컨설팅기업
 운영방식 : 지역실정에 맞게 기존 민간기관 내 설치하거나 지자체 행정부서 내 팀 구성 등 다양한 방식 활용
 - 주요기능 : ▲문화도시 조성계획 수립 및 사업 추진 ▲행정-시민-전문가 문화도시 추진 위원회 운영 ▲주민교육 및 의견수렴 ▲그 밖에 지자체 조례로 정하는 사항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