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현황
학문 분야 | 정원 | 이수 방법 | 수여 학위 | 이수 대상 |
교양사회과학 | (최소) 10명 (최대) 40명 | 부전공 | - | 모든 재학생 |
전공 소개
평화학은 21세기 문명의 안정적 지속과 조화로운 인간 삶을 위한 집단 지혜의 모색이다. 평화학은 한반도 분단과 동아시아 갈등 극복을 주요 주제로 다루지만 동시에 그것을 넘어 생태위기와 집단 간 갈등과 혐오의 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룬다. 이 평화학 부전공은 주로 평화요인과 상생문화를 익히도록 보조한다. 아울러 공공 기관과 사회단체들과 협력해 평화답사와 평화 실습 프로그램을 제공해 희망이나 전망만이 아닌 ‘실천과 직업으로서의 평화’를 함께 준비한다. |
교육 분야
평화학 관련 학내의 통일, 정치, 남북한 관련 교과목 연계
정치, 문화, 언어, 교육, 경제, 사회, 심리 등 인문사회분야뿐만 아니라 전기·전자, 농수산, 지질, 물리, 산림, 보건, 생명, 환경, 공학 등 자연과학 분야의 남북협력, 평화관련 교과목 연계 구성
‘일반대학원 평화학과’ 교육과정 연계
진로 및 취업 분야
진로 분야
|
취업 분야
|
목표 직종
|
설정 근거
|
국제 및 국가기관
|
국제기관
|
UN, UNESCO 등
|
국제기구 인원수요 증가
|
국내 국가기관 및 공공 산하기관
|
통일부, 외교부, 각국 대사 등
|
국내 정부기관별 채용공고 계획
|
연구원
|
정부, 지자체 출연 연구기관 연구원
|
통일연구원 등
|
북한관련 자료 수집을 통해 북한 경제체제 구조와 경제동향 분석, 전망
|
평화·통일 관련 연구원(대학 포함)
|
국내 평화·통일관련 채용공고 계획
|
사회복지·문화·예술 방송
|
인도주의, 종교 분야
|
평화NGO, KOICA, KOTRA 등 사회활동단체
|
국내 사회복지 및 종교관련직 채용공고 계획
|
방송, 문화 분야
|
방송 및 언론사, 박물관 등
|
국내 문화 분야 관련직 채용공고 계획
|
대학원생
|
국내외 대학원 진학
|
대학원 진학 후 대학, 연구기관, 행정기관 진출
|
일반대학원 평화학과 진학과 연계
|
인력 수요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