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융합가상학과

전공 소개

국제개발협력학과

전공 현황

학문 분야

정원

이수 방법

수여 학위

이수 대상

국제학

(최소) 25명

(최대) 30명

부전공

복수전공

-

국제학사

모든 재학생

전공 소개

  우리나라는 국제사회의 원조(aid)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한 유일한 국가로 2010년 OECD의 개발원조위원회(DAC) 가입을 통해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책임 있는 국제개발협력 분야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국제개발협력 지원 예산의 경우 2010년 1조 3천억원에서 2019년 3조 2천억원(GNI 대비 0.14%)으로 3배 가까이 증가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GNI 대비 0.3% 수준으로 확대하고자 한다.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국제기구와 관련 정부 부처, 기관에 진출하도록 지원하고, 국제개발협력 전문가로서 지구촌 발전과 협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배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강원대학교의 국제화 역량을 높이고 국제교류 활성화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해당 분야의 국내·외 학생을 유치하여 교육함으로써 국제 사회와의 협력 강화 기반으로도 활용하고자 한다.

교육 분야

 국제개발협력 이론

   국제개발협력 개론, 지속가능개발 목표, 국제기구

   빈곤, 소액금융의 경제학, 식량 안보

   한국경제개발의 이해, 개발경제와 개발협력, 국가개발정책의 이해

   권역별 개발정책 분석론 : CLMV(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CIS(독립국가연합), 아프리카, 중남미

 국제개발협력 실무 기획

   산업 분야별 가치사슬 분석론(농산업, 산업)

   프로젝트 사전 타당성 조사 분석론

   국제개발협력 사업 발굴 및 기획, 프로젝트 모니터링 및 평가 방법론, 프로젝트 사후 관리 방법론

   무역을 위한 원조

진로 및 취업 분야

진로 분야

취업 분야

목표 직종

설정 근거

 국제기구 컨설팅

 UN 산하기관 컨설팅

 권역별 자문관

 권역별·나라별 지역 사무소 개발협력 사업 기획 자문

 다자개발은행 실무 컨설팅

 나라별 실무 PM

 나라별 인프라 사업 추진 실무

 정부기관 및 유관 기관 개발협력 사업 기획 및 시행

 정부부처 개발협력 기획

 국제개발협력전문관

 개발협력사업기획자문관 

 부처별 국제개발협력국 사업 기획, 예산 확보, 부처별 융합 사업 시행

 한국국제협력단(KOICA) 무상원조 기획

 ODA 전문관

 나라별 현지 사무소 컨설턴트 

 무상원조 확대로 인한 인력 수요 증가, 나라별 현지 사무 컨설턴트 및 전문관 역할 수행

 국제 NGOs 및 민간 기업 개발협력 사업 기획 및 시행

 월드비전 등 NGOs 컨설팅

 권역별 자문관

 민관협력 사업 추진 자문

 국민건강보험공단

 CSR 총괄 기획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사업 시행

인력 수요 전망

 대한민국의 국제기구 출연금 대비 고용비율이 낮고 한국의 경제개발경험을 개도국에 전수하고자 하는 국제기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국제기구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을 보유한 전문 인력이 부족한 실정

 워크넷(worknet.go.kr)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따르면 국제개발협력 관련 전문가 양성이 시급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고용과 관련된 기관에서는 국제개발협력 분야는 미래유망 직종의 하나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