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목표
농생명 산업의 발전과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예 전문 인력 양성
현장 농업의 전문화와 생산성 제고 및 경쟁력을 갖춘 인재 양성
21세기 FTA에 대응할 수 있는 유능한 농업과학자와 전문 경영인 양성
전공 역량
전공 역량
|
세부 역량
|
정의 및 달성 기준
|
전공 지식
|
기초 지식
|
농업 지식과 자연과학 기술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음.
|
응용 능력
|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농생명 산업 분야에 대한 실험·실습을 수행할 수 있음.
|
실무 능력
|
기초 지식과 응용 능력을 바탕으로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실무를 수행할 수 있음.
|
농업전문경영 창의형 융합 리더십
|
산업 이해력
|
농생명 산업의 중요성과 영향력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음.
|
문제해결 능력
|
실무형 전공역량 강화를 통해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
창의적 리더십
|
농생명 산업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사고를 수행할 수 있음.
|
농업전문경영 공동체 의식
|
도전 정신
|
농생명 산업 분야의 발전을 위해 도전하고 역경을 이겨낼 수 있는 끈기를 갖추고 있음.
|
사회성 및 협동성
|
농생명 산업 구성원의 한 사람으로서 서로 이해하고 융합할 수 있는 인성을 갖추고 있음.
|
윤리 의식
|
농생명 산업 분야 예비종사자로서 윤리 의식을 갖추고 사회에 대한 사랑과 존중을 실천할 수 있음.
|
진로 트랙
농산업 관리
목표 직종
|
이수 목표
|
편성 교과목
|
엔지니어링
종합관리전문
|
농산업 관련 시설 전문가 인재 양성을 하고, 실무형 역량을 높여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교과목 이수
|
바이오시스템기계학및실습, 관개배수공학및실습, 농지정비보전학, 지역계획론, 농업시설학, 지역경관학및설계
|
농생명 연구
목표 직종
|
이수 목표
|
편성 교과목
|
농산업회사 연구소
|
농생명 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연구 기획 능력을 갖추고, 실험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교과목 이수
|
농약학, 식물육종학, 식물보호학, 일반곤충학
|
식품 유통
목표 직종
|
이수 목표
|
편성 교과목
|
농·수·축협
유통회사(구매인)
|
농산업 가치와 유통 구조를 이해하고, 산업 경제 지식과 동향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교과목 이수
|
식품공정학및캡스톤디자인, 화훼작물및실습, 수확후공정공학
|
농산업 컨설팅
목표 직종
|
이수 목표
|
편성 교과목
|
농산업회사
재배사
|
농생명 산업을 이해하고, 국가와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교과목 이수
|
농업환경학, 환경산업트랜드, 친환경농업, 토양환경학, 식물병진단, 과수학각론, 채소학각론, 약용식물학
|
농산업 경영
목표 직종
|
이수 목표
|
편성 교과목
|
자영농
|
농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경영인을 양성하는 교과목 이수
|
농업경영학, 농업경제학, 농산물시장론, 농기업론
|
졸업 요건
성적
농업전문경영연계전공에서 이수한 모든 교과목의 성적이 평점평균 1.75 이상이어야 함(단, 졸업 유보자 제외).
학점 취득
전공 영역별 이수 학점 및 최소전공학점 이상 취득
세부 영역
|
전공필수
|
전공선택
|
최소전공학점(계)
|
이수 학점
|
-
|
21학점
|
21학점
|
이수 학점
|
-
|
36학점
|
36학점
|
소정 요건
적용 요건
|
시행 시기
|
충족 기준
|
(없음)
|
-
|
- |
편성 교과목
세부 영역 | 전공필수 | 전공선택 | 계 |
2020학년도 | - | 25과목(72학점) | 25과목(72학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