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계전공

전공 소개

수목진료연계전공

전공 현황

학문 분야

수여 학위

정원

주관 학과 · 전공

참여 학과 · 전공

산림학

산림학사

40명

산림환경보호학전공

산림경영학전공, 산림자원학전공, 생태조경디자인학과

전공 소개

  본 전공은 산림 및 생활권에서 서식하는 수목에 가해지는 다양한 생물적, 비생물적 피해에 대한 원인과 이를 구제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 수목의 피해에 대한 방제 및 구제를 위한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전문가적 소양을 배양하고자 개설되었다.

  학제간 융합형 전공 교육을 통해 관련분야에 대한 통합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를 배양하고 현장의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목적 지향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시스템을 개발하고 운영하여, 졸업 후 수목진료 분야의 산업체 현장에 투입 될 수 있는 실무 강화형 고급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전공이다.

  교육 분야는 나무의사를 배출하기 위한 수목진료관련 분야로써 수목의 이해(수목 분류, 수목생리, 산림생태), 수목의 생육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산림토양 및 산림기상, 수목에 실질적 피해를 가하는 수목의 병해충(수목병리, 수목해충, 수목관리 등), 나무의사로서의 소양인 산림정책 등의 분야를 공부한다.

  졸업 후 국공립나무병원, 사설 나무병원 취업 및 창업, 학교 숲 관리사, 중앙 및 자치단체 관련 분야 공무원, 농약회사, 국립공원관리공단, 국공립 수목원 등에 취업할 수 있다.

교육 분야
 수목의 이해(수목 분류, 수목생리, 산림생태)
 산림 토양 및 산림 기상
 수목 병해충(수목병리, 수목해충, 수목관리 등)
 산림 정책
진로 및 취업 분야

진로 분야

취업 분야

목표 직종

설정 근거

 공공 분야

 공립 나무병원

 관련 분야 공무원

· 산림보호법 시행령

· 수목진료 전문인력 양성

 산림직 공무원

 관련 분야 공무원

· 산림보호법 시행령

· 수목진료 전문인력 양성

 전문직 분야

 나무병원

 나무의사

· 산림보호법 시행령

· 수목진료 전문인력 양성

 조경 관련 회사

 조경수 보호 직종

· 산림보호법 시행령

· 수목진료 전문인력 양성

 창업 분야

 나무병원

 나무 병원 설립

· 산림보호법 시행령

· 수목진료 전문인력 양성

인력 수요 전망

  사회의 요구 및 국가 정책적으로 수목진료를 전담하는 나무의사에 대한 인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산림청에서는 수목진료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산림보호법을 개정하여 2018년 6월에 나무의사 제도를 시행하고자 한다.

  나무의사는 재해를 받은 수목에 대한 진료를 담당하고 이에 대한 처방과 치료 및 예방을 하는 전문가이며, 생활권 수목피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전문지식을 활용한 적정한 수목치료를 담당하기 위하여 전문인력 수급이 필요한 상황이다. 나무병원, 공공주택관리 등에 필요한 소요 인원은 청년 중심의 신규 일자리 4,000여 개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